To learn a Python programming language
#01 수의 종류
숫자 타입에는 두 종류가 있는데 소수점이 없는 숫자를 정수형(integer), 소수점이 있는 숫자를 실수형(floating point)
이라 합니다. 이때 주의할 점은 0은 소수점이 없는 숫자이고, 0.0은 소수점이 있는 숫자라는 것입니다. 같은 크기를
나타내지만 자료형(type)이 다르다는 점을 주의해야 합니다.
숫자를 출력할 때도 역시 print() 함수를 이용하는데 괄호 안에 그냥 숫자를 넣으시면 됩니다.
숫자와 각 숫자의 자료형(type)을 출력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자료형은 각각 int는 정수형을 float는 실수형을 나타냅니다.
#02 수 연산자
사칙 연산자 : + , - , * , /
위 사칙연산은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 순입니다. 파이썬에서 곱하기와 나누기의 연산자를 위와 같이 표시합니다.
사칙 연산자를 이용해 계산을 해 보겠습니다.
*앞에 큰따옴표로 묶은 부분은 문자열입니다.
계산 결과를 보시면 우리가 예상한 대로 결과가 나왔습니다. 다만, 정수를 계산했을 때 ' +, -, * '는 반환 타입이 정수형이지
만 ' / '는 실수형을 반환합니다. ' / '를 계산했을 때도 반환 타입을 정수형으로 하고 싶다면 int() 함수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int() 함수는 자세한 내용은 함수 편에서 다루겠지만 간략하게 괄호 안의 내용을 정수형으로 변환하는 함수입니다. 마찬가지
로 str() 함수도 형 변환 함수인데 괄호 안의 내용을 문자형(string)으로 변환하는 함수입니다. 제가 출력문에 공백을 나타내
는 문자열 " "을 넣었는데 " "과 type() 함수의 반환 내용을 ' + '로 연결하면 오류나 납니다. 그래서 str() 함수를 이용해 형 변
환을 한 것입니다.
정수 나누기 연산자: //
정수 나누기 연산자는 정수를 나누었을 때 소수점 이하의 숫자를 버리는 연산자입니다.
' / '연산자와 달리 ' // '연산자는 소수점 아래 숫자를 버리는 걸 볼 수 있습니다. 아울러 자료형도 정수형으로 반환합니다.
나머지 연산자: %
나머지 연산자는 숫자를 나누고 난 나머지를 구하는 연산자입니다.
예를 들어, 5 / 2 = 2(몫)... 1(나머지)인데 여기서 나머지 값을 나타내는 1을 구하는 연산자입니다.
제곱 연산자: **
제곱 연산자는 숫자를 제곱하는 연산자입니다. 수학에서 2³은 파이썬에서 2**3으로 씁니다.
지금까지 수와 수 연산자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변수에 대해 업로드하겠습니다. 끝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파이썬 책 없이 공부하기(5) 숫자와 문자열의 다양한 기능 (0) | 2022.10.24 |
---|---|
Python 파이썬 책 없이 공부하기(4) 변수와 입력 (0) | 2022.10.23 |
Python 파이썬 책 없이 공부하기(2) 문자열 연산자 (0) | 2022.10.20 |
Python 파이썬 책 없이 공부하기(1) 문자열 만들기 (0) | 2022.10.20 |
Python 파이썬 책 없이 공부하기(0) 소개 & 공부 전 준비사항 (0) | 2022.10.19 |
댓글